1. 꼭 알아야 하는 AI Tool 소개 feat. AI알못
리치버드입니다.
저는 ai tool을 사용할 줄 몰라요.
그래서 다 유료 결제하고 열심히 제 어필을 하며 네가 알아듣냐, 내가 포기하냐 씨름 중입니다.
저처럼 tool의 이름도 제대로 못 외우는 사람들을 위해
AI 알못을 위해 정리했습니다.
내가 창작 작업을 하느냐, 옳고 그름을 구별하느냐,
논문 내용을 다 읽지 않고도 쏙쏙 뽑아 정리하느냐, 코딩을 짜느냐에 따라
다양하게 써먹고 싶어서 만든 페이지입니다.
1. AI tool 내맘대로 정리 by. Rich bird
🗂️🗂️🗂️
1. ChatGPT (https://chat.openai.com)
📌 추천 카테고리:
✅ 창작 글쓰기 (소설, 에세이, 시나리오)
✅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(줄거리 구성, 플롯 전개)
✅ 문장 다듬기 (문체 변화, 톤 조정)
✅ 정보 정리 (배경 조사, 개념 설명)
장점: 방대한 지식 기반, 창의적인 글쓰기 지원, 다양한 톤과 스타일 적용 가능
한계: 가끔 사실과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, 최신 정보가 부족할 수도 있음
🐥최신 정보는 해외보다 국내 정보를 더 못 찾는 편이에요. 에세이나 창작극 쓸 때 적극적으로 창의력을 발휘해 보조 작가가 되어줍니다.
2. Claude (https://claude.ai)
📌 추천 카테고리:
✅ 장문 작성 (긴 글, 보고서, 논문 초안)
✅ 부드러운 문체의 글쓰기 (설득력 있는 글, 공감형 글)
✅ 논리적 글 전개 (체계적인 글 구조, 논문 초안)
장점: 정중하고 부드러운 대화 스타일, 장문 생성에 강함
한계: 중립적인 답변을 주어 창의성이 부족할 수 있음
🐥유료로 쓰고 있음에도, 각 대화별 사용량이 너무 적다고 느껴집니다. 그만큼 한 번에 장문 생성은 가장 잘 해요.
3. Perplexity (https://www.perplexity.ai)
📌 추천 카테고리:
✅ 최신 정보 검색 (실시간 트렌드, 뉴스, 연구 자료)
✅ 사실 검증 (정확한 출처 기반 정보 확인)
✅ 정보 요약 (논문, 기사, 기술 자료 요약)
장점: 실시간 웹 검색이 가능해 최신 정보 반영
한계: 가끔 부정확한 출처를 인용할 수 있음
🐥논문 정리를 가장 깔끔하고 정확하게 하는 편이에요. 하지만 모든 AI 툴이 그렇듯, 더블 체크 필수! ⚠️
4. Gemini (구 Bard) (https://gemini.google.com)
📌 추천 카테고리:
✅ 웹 기반 자료 찾기 (구글 검색과 연결)
✅ 기술적 질문 해결 (코딩, IT 관련 정보)
✅ 영상 및 이미지 관련 정보 (멀티미디어 분석)
장점: 구글 생태계와 연계되어 웹 검색과 통합이 잘됨
한계: 답변이 일관되지 않을 때가 있음
🐥최신 정보 정리를 잘 하는 편이에요. 그렇다고 최신 뉴스 물어오기 1등은 아닙니다. 코드 개발에 OX가 괜찮은 편.
5. Pi (https://heypi.com)
📌 추천 카테고리:
✅ 감성적인 글쓰기 (편지, 심리적 위로, 상담)
✅ 대화형 상담 (마음 정리, 감정 다스리기)
✅ 창작 캐릭터의 심리 분석 (인물의 감정선 정리)
장점: 감정적으로 공감하는 대화를 잘함, 편안한 대화 스타일
한계: 깊이 있는 정보 제공보다는 감성 위주의 답변이 많음
🐥소설 쓰기에 적합하다고 하는데, 그러기에는 터무니 없는 사건 연결이 잦아서 선호하진 않아요. 훈련을 정말 많이 시켜도 본인이 좀전에 한 말과 일치도가 떨어져요.
6. Microsoft Copilot (https://copilot.microsoft.com)
📌 추천 카테고리:
✅ 오피스 문서 작업 (보고서, 프레젠테이션, 문서 정리)
✅ 데이터 정리 (엑셀 분석, 차트 생성)
✅ 비즈니스용 이메일 작성 (정중한 문서 작성)
장점: MS 오피스와 통합되어 업무 생산성 향상
한계: 검색 결과가 Bing에 의존하여 편향될 수 있음
🐥검색 엔진이 old합니다. 메일 용어는 상위 두 곳이 더 잘 번역해요.
7. Poe (https://poe.com)
📌 추천 카테고리:
✅ 다양한 AI 비교 테스트 (여러 AI 모델을 한 번에 사용)
✅ AI 성능 평가 (어떤 모델이 내 작업에 적합한지 실험)
✅ 짧은 질문 & 빠른 답변 (간단한 정보 검색)
장점: 여러 AI 엔진을 선택할 수 있어 비교 가능
한계: 개별 AI에 대한 최적화는 부족할 수 있음
🐥안 써 봤어요. 동시에 여러 검색 엔진을 돌린다고 하는데, 상위 네 곳 모두 그렇습니다.
8. Mistral (https://mistral.ai)
📌 추천 카테고리:
✅ AI 연구 & 모델 개발 (오픈소스 AI 활용)
✅ 기술적 질문 & 알고리즘 이해 (AI 및 머신러닝 관련)
✅ 자체 AI 모델 훈련 (커스텀 AI 구축)
장점: 개방형 AI로 맞춤형 모델 개발 가능
한계: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기엔 다소 기술적일 수 있음
🐥모든 tool이 그렇듯 훈련을 많이 시켜야 하는데, 특히나 기술 용어에 강해 그쪽으로 많이 쓰입니다. (그쪽 분야로 굴려야 훈련됨)
9. Llama (Meta AI) (https://ai.meta.com/llama)
📌 추천 카테고리:
✅ AI 연구 및 학습 (오픈소스 AI 모델 활용)
✅ 챗봇 개발 (자체 AI 챗봇 제작)
✅ 메타버스 & VR 관련 연구
장점: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오픈소스 AI
한계: 일반 사용자보다는 개발자와 연구자에게 적합
🐥코드 제작에 적지 않게 쓰이는 편이래요. 일단 코드 제작을 정확하게 하는 곳일수록 검색 엔진 성능도 따라 좋은 것 같음.
10. Grok (XAI by Elon Musk)
📌 추천 카테고리:
✅ SNS 트렌드 분석 (X(Twitter) 기반 데이터)
✅ 실시간 대중 의견 조사 (소셜 미디어 반응 분석)
✅ 밈, 유머 생성 (SNS 콘텐츠 제작)
장점: 트렌드 및 SNS 데이터를 빠르게 반영 가능
한계: X(Twitter) 생태계에 너무 의존적일 수 있음
🐥광고 분야, 카피라이터들이 잘 써먹습니다.
Etc.)
🐼최근 엄청난 화제였던 디비디비딥딥앀.
막히기 전까지 써봤을 때 검색 엔진부터 문장력 모두 상대적으로 훌륭한 편이었습니다. 🫢
결론 - 기기 잘 못 다루는 제가 생각하기에
얘네들은 내가 원하는 것을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말할수록 일을 잘 해요.
칭찬도 해주면 저렇게 'ㅋㅋ'도 씁니다.
감히 나랑 친구 먹음.
2. AI tool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
🛠️🛠️🛠️
1. 내가 누구고 어떤 목적으로 얘를 이용하는지 명확히 밝히기.
2. 내가 구체적으로 필요한 정보 또는 문장의 의도성, 어느 부분에서 창작이 필요한지 등을 미리 기입하기.
3. 얘가 제대로 일을 했으면 칭찬해주기. -> 그럼 의욕적으로 불타올라서 정확도가 올라가는 애들이 1.2번임.
4. 요약을 요청할 때는 반드시 서-본-결론 으로 나누도록 시키기. -> 각 내용의 근거(보조내용)를 더 정확히 찾음.